리틀 잼머 프로

[잼머 제어하기] 스위치를 이용해 트럼펫 움직이기 2

molagjun 2013. 2. 13. 12:51

* 주의사항 : 이후에 이야기하는 부분들은 정확히 검증된 내용이 아니며, 틀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내용이 정확하더라도 계측이나 개조과정에서 실수로 인한 역전압이나 과전압, 과전류 등으로 인해 잼머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그냥 재미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


 그럼, C-2와 C-3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준비물


 우선, 회로에 사용된 준비물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1) 브레드보드


 위 사진을 보시면, 구멍이 많이 뚫린 네모난 물체(?)가 있습니다. 브레드보드라고 하는 것인데, 회로 테스트 등을 할 때 납땜을 하지 않고 회로를 구성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내부에서 핀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구멍에 부품소자들과 선을 연결하면 납땜을 안해도 됩니다. 



1-2) IL1117


 여기서 사용한 부품은 IL1117C-3.3V 입니다. 입력은 최대 15V까지 가능하고, 출력은 3.3V입니다.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저의 경우, 브레드보드에서 사용하기 편하도록 다음과 같이 만들었습니다.



 핀을 직접 브레드보드에 꽂을 수 있으면 이렇게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



1-3) 탄탈 콘덴서


 IL1117 회로를 보시면, Tantalum이라고 적혀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생긴 것이 탄탈 콘덴서 입니다.

 콘덴서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전 학교 다닐 때부터 말 잘듣는 학생이었기 때문에 문서에 나온대로 탄탈을 썼습니다. 전해 콘덴서같이 다른걸 써도 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


 같은 용량이라도 허용되는 전압이 다르므로, 10uF에 5V를 넘는 것을 고르셔야 합니다. 허용 전압이 높을수록 크기가 크고 비싸집니다. 저의 경우, 16V짜리를 사용했습니다.


 주의할 점은 극성이 있으므로, 극성을 잘 맞춰줘야 합니다.



1-4) 스위치


 아무 스위치나 적당한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2. C-2

 실제 브레드보드에 연결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내 봤습니다. 8번과 9번 핀을 GND로 연결되도록 중간에 스위치를 연결하면 됩니다. 설명을 위해 브레드보드를 따로 했으나, C-3의 회로와 하나의 브레드보드에 구성하셔도 됩니다.



3. C-3

 여긴 조금 복잡합니다.


 우선, GND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연결해 줍니다. 그리고 아두이노의 출력으로 사용할 7번과 6번핀을 IL1117의 입력핀인 3번과 연결해 줍니다. 그리고 IL1117의 출력핀인 2번을 랜선으로 연결해 줍니다. 


 IL1117의 입출력에 극성에 유의하여 각각 탄탈 콘덴서를 달아줍니다.


 랜선은 팔과 허리와 GND 3개의 선을 연결해 줍니다.



 다음은 C블럭을 합쳐놓은 그림입니다.

이렇게 하여 서로 연결해 보면 트럼펫을 움직여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