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잼머 제어하기] 간단한 구조의 이해 및 간단한 수리 팁
몇 달 전부터 기타 연주자가 팔을 움직이다 말다 합니다. 바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그냥 듣고 있었는데, 근래에 시간도 생기고 해서 고쳐봤습니다.
오랜만에 분해해서 속을 보니, 예전에 직접 연주하는 장치를 만들며 재미있어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상자에 쳐박혀 있던 연주모듈을 꺼내서 연결해보는데, 게으른 성격탓에 적어놓질 않았으니, 어디어디를 연결 해 줘야 하는지 한참을 헤맸습니다.
원래 계획은 다 만들고 정리해서 글을 올리자였는데, 언제 완성할지도 모르겠고, 했던 것도 잊게 생겼으니 일단 해놓은 것까지라도 기록을 남겨 볼랍니다.
< 간단한 구조의 이해 >
우선, 제가 이해한 잼머의 구조입니다. 고수분들께서는 다 알고 계신 내용이겠지만, 정리 차원에서 적어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
잼머 연주자 중에서 트럼펫, 섹소폰, 베이스, 기타는 움직이는 구조가 거의 비슷합니다.
1. 허리 움직임
모터로 움직입니다. 모터에선 일종의 크랭크(?)같은 장치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터는 한 방향으로 돌지만, 허리는 앞 뒤나 좌 우의 2방향으로 움직입니다. 또한, 베이스나 기타는 목과 왼손도 크랭크 같이 연결되어 동시에 움직입니다.
연주를 시작하면 연속적인 움직임을 갖습니다.
2. 팔 움직임
전자석으로 움직입니다. 전자석이 있고, 약간 떨어진 위치에 회전운동을 하는 팔이 있습니다. 팔 쪽에는 자석이 있고, 약한 용수철이 달려 있습니다.
용수철과 연결된, 용수철 바로 밑이 자석입니다.. 그 밑에 약간 붉은 빛을 띄는 것이 전자석입니다. 전자석 회로로 전압이 걸리면 전자석에 자력이 생겨 자석을 당겨줍니다. 전압을 차단하면 용수철의 힘으로 원래자리로 돌아옵니다.
즉, 박자에 맞추어 전압을 넣어줬다가 전압을 끊어주면 팔이 움직입니다. 연주 중 연속으로 모터를 돌리는 허리와는 다른 움직임입니다.
3. 발 움직임
팔과 같은 방식이라고 추측되어 생략합니다. (발은 안뜯어 봤습니다. ^^;)
< 간단한 수리 팁 >
다음은 간단한 수리 방법입니다. 잼머 연주자가 허리는 움직이는데 손을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대한 수리 방법입니다.